
행정안전부는 카카오,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함께 오는 8일부터 카카오 맵에서 전국 도시철도 1,107개 역사의 교통약자 이동·환승경로, 편의·안전시설 안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.
제공되는 정보는 카카오 맵에서 서울역, 용산역 등 역사명을 누르면 나오는 각 역사정보 내에 있는 ‘교통약자정보’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.
우선, 교통약자를 위한 장애인 화장실, 수유시설, 휠체어 리프트, 전동휠체어 충전 등 편의시설 위치뿐만 아니라, ’교통약자 이동경로 안내‘ 버튼을 누르고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설정하면 철도역사 도면을 바탕으로 출입구와 환승이동 경로 등 단계별 이동 및 환승경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
또한 1번 출구와 2번 출구 등 각 ‘역사별 출구정보’ 메뉴에서는 엘리베이터, 에스컬레이터, 휠체어 리프트의 구비 여부가 표시돼 교통약자가 어느 출구를 이용하면 편리할 지 사전에 손쉽게 살펴볼 수 있다.
해당 서비스는 지난해 11월 22일 철도시설공단이 공공데이터포털(www.data.go.kr)에 공개한 역사정보를 바탕으로 카카오 측이 개발했으며, 향후에는 한국철도시설공단(철도산업정보센터)에서 정보관리를 담당해 안정적인 정보 공개와 정보 관리, 신규역사 정보 추가 등이 상시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.이번 카카오 맵 서비스는 2018년 상반기부터 행정안전부가 국토교통부, 카카오 등 민·관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업을 추진한 성과이다.
행정안전부 이재영 정부혁신조직실장은 “취약계층을 위한 작지만 실용성 높은 공공서비스 분야를 지속 발굴하고, 관련 기관과 협업을 통해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것.“이라며 “이번 모바일 교통약자 이동 및 환승 정보 서비스가 쉽게 널리 이용될 수 있도록 현장 체험단을 구성해 다양한 홍보 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.”이라고 밝혔다.
열기 닫기